■ 정보처리기사 생생 합격후기 1탄
안녕하세요. 미오입니다. 😀
드디어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을 최종 합격하게 되어 이렇게 후기를 남기게 되었습니다!
혹시 자격증 취득을 준비 중이시거나 열심히 공부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계신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라면서 후기를 작성해보려 합니다.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한 저의 첫 후기 글이 여러분의 자격증 준비과정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그럼 이제 제가 준비 과정에서 얻은 유용한 정보와 팁들을 공유해보겠습니다!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을 취득하고자 마음을먹었지만,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할지 난감했어요.
그래서 저는 유튜브나 블로그 포스팅을 통해 자격증에 대한 정보를 폭풍 검색했습니다. 😅
아래는 제가 자격증 준비 전 알아야할 기본적인 내용들을 정리해두었으니 참고해주세요.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에 관한 포스팅을 먼저 확인 해보세요!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IT 전문가의 첫걸음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이란?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국가공인 자격증으로, 정보처리 분야에서의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검증받을 수 있는 시험입니다.이는 소
anuglyduckling.tistory.com
1. 원서 접수
위에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에 관한 포스팅을 읽고 오셨다면 해당 시험 접수하기 어렵다는걸 아실거에요.
착착 잘 되는 사람도 있겠지만 저는 PC로 하는 바람에 접수 인원이 몰려서 원하는 시험장으로 접수 못하고 엄청 먼 거리에 있는 시험장에 접수했어요.
에이 설마라고 생각하시겠지만 아래 이미지처럼 정말입니다 😩
💡 point | 원서접수 3가지 기억하기!
여러분은 꼭 접수전에 원서접수 4일전 원서접수사전입력 하시고 모바일에 큐넷 앱 설치 해서 원서접수당일에는 앱으로 접수하세요!
여기서 제일 중요한건 가상계좌결제로 하셔야 합니다!
카드결제하면 결제하는 시간내에 다른사람이 결제하면 해당 시험장 인원초과됐다고 떠요...🥲
설마.. 입금 바로 안하고 가상 입금시간 놓쳐서 접수 못하시는분은 없겠죠?!
참고로 필기 응시료는 19,400원 입니다.
2. 정보처리기사 필기 시험 공부 방법
💡 point 1 | 전과목 과목별 65~70점 목표로 공부하기
필기/실기 구분 | 시험과목 | 시험방법 | ||
필기시험 | 소프트웨어 설계 소프트웨어 개발 데이터베이스 구축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정보시스템 구축관리 |
객관식 4지 택일형 | 100문 (과목당 20문항) |
150분 (과목당 30분) |
정보처리기사 필기 시험은 총 5가지 과목으로 각 20문항씩 100문항이 출제되며 객관식 입니다.
100점 만점 중 60점 이상 합격이고 과락은 45점 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60점 이상이면 합격하는 절대평가 시험이기 때문에 절대! 절대! 절대! 100점 만점을 목표로 공부할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한 과목이라도 과락이 발생하면 불합격입니다.
따라서, 저는 전과목 65점 목표로 공부했어요!
💡 point 2 | 5과목 빈출 및 중요한 파트부터 공부 후 회독 수 높이기
시중에 유명한 정보처리기사 필기 교재들은 빈출과 중요순에따라 표시가 되어있기때문에 중요한 파트부터 공부하여 전과목 회독 하는것이 중요합니다.
저는 시나공 교재를 사용했고 빈출되는부분과 중요한 파트는 A,B,C,D 이런식으로 알파벳으로 표시되어 있었어요.
그래서 아래처럼 C 파트까지만 공부하고 나머지 내용은 기출을 통해 정리하는걸로 계획했어요.
공부 시간이 부족해서 5회독 까지 했습니다.
- 1회독 - 전과목 A 파트 공부
- 2회독 - 전과목 A 파트 복습 + 전과목 B 파트 공부
- 3회독 - 전과목 A 파트 필수 암기 + 전과목 B 파트 복습
- 4회독 - 전과목 B 파트 필수 암기 + 전과목 C 파트 공부
- 5회독 - 전과목 A 파트, B 파트 복습 + 필수 암기
- 6회독 - 전과목 C 파트 복습 + 필수 암기
- 7회독 - 전과목 A 파트, B 파트, C 파트 복습 + 필수 암기
💡 point 3 | 기출문제 활용하기 -> 기출 암기 절대 금지!
2020년부터 NCS 기준으로 개편되었기 때문에 기출문제는 2020년도까지 풀어보시는걸 추천 합니다.
중요한 점은 기출문제 그대로 출제되는 문항수가 적어지고 있기때문에 정답을 외우는건 절대 비추합니다.
최근 기출문제 외부 반출 금지로 출제 문제를 구하기도 힘들구요!
그래서 저는 최근 기출문제 부터 2020년 기출문제까지 풀면서 틀린문제에 대한 개념이나 필수 암기해야하는 내용 참고용으로 활용했습니다.
시간이 없더라도 이론 공부 후에 기출문제는 꼭 풀어보세요. 문제가 어떤 방식으로 출제되는지 알 수 있고 알고있는 내용과 모르는 내용을 구분하기 좋습니다.
아래 링크에 들어가시면 본 시험과 동일하게 CBT 방식으로 기출문제를 푸실 수 있어요.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www.comcbt.com
💡 point 4 | 유튜브 활용하기
유트브에 '정보처리기사'라고 검색하시면 정말 많은 영상이 나옵니다.
프로그래밍 파트, 데이터베이스 파트와 이론관련하여 어려운 부분은 유튜브 통해 공부했습니다.
프로그래밍과 데이터베이스는 이해하는데 도움이 많이 됐고 이론파트는 쉽게 암기할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시니까 혼자 공부하는것보다 영상으로 공부하는게 훨씬 효율적이더라구요.
저는 흥달쌤 강좌 많이 봤습니다. 지루하지않고 재밌습니다. 아래 링크 달아놓을게요 😀
(물어뜯으러 오신다는데 ㅋㅋㅋ 물어뜯으러 와주세요 ㅋㅋㅋ)
흥달쌤
흥달쌤과 함께하는 IT 채널입니다.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관련된 강의 및 실무 노하우, 프로그래밍 언어(JAVA, C언어, Python) 특강 등이 진행됩니다. 앞으로 진행 예정인 동영상은 IT 관련된 이야기
www.youtube.com
💡 point 5 | 주중~주말 스터디 플랜
저는 주중에는 하루에 순공시간 확보하기가 어려워서 오전에 기상하고 1시간 , 틈틈히 쉬는시간에 30분씩 공부하고 자기전에 1시간 30분 ~ 2시간 공부했어요.
주말에는 적어도 4시간이상 스카에서 공부하고 틈틈히 cbt 풀거나 암기했어요.
비전공자분들의 경우 프로그래밍과 데이터베이스 파트에서 힘들어하시기 때문에 해당 과목을 먼저 공부하시는것도 좋을것 같아요.
저는 프로그래밍과 데이터베이스 파트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은 이해하고 있어서 따로 공부하지는 않았습니다.
[정보처리기사 필기 시험 합격 공부 계획]
- 공부기간: 8주
- 1주차 주중 - [1회독] 전과목 A 파트 공부
: 월~금 5일동안 하루에 한과목 A파트 공부하기 - 1주차 주말 - 전과목 A 파트 복습
: 가볍게 읽고 회독수 높이는데 중점 (형광펜) - 2주차 주중 - [2회독] 전과목 A 파트 복습 + 전과목 B 파트 공부
: 월~금 5일동안 B 파트 공부 후 형광펜 친 A 파트 복습 - 2주차 주말 - 전과목 B 파트 복습
: 가볍게 읽고 회독수 높이는데 중점 (형광펜) - 3주차 주중 - [3회독] 전과목 A 파트 필수 암기 + 전과목 B 파트 복습
: 월~금 5일동안 하루에 한과목 A파트 필수 암기, 전과목 B 파트 부족한 부분 위주로 복습 - 3주차 주말 - 주중에 못한 부분 공부 + 최신기출
: 조금씩 주중에 다 못하는 부분이 생겨서 주말에는 주중에 못한 부분 공부 후 시간 여유 남았을때 주중 내용 가볍게 복습
이때 최신기출 풀어봤는데 다 틀려서 비가 왔지만 문제가 왜 틀렸는지 보다 문제 유형이랑 관련 내용 정리해서 공부했어요 - 4주차 주중 - [4회독] 전과목 B 파트 필수 암기 + 전과목 C 파트 공부
: 전과목 C 파트 공부 공부 하면서 파트별 B 파트 필수 암기 -> B랑 C파트 양이 생각보다 많아서 과목별로 공부할때 하루에 한과목 다못해도 다음날 이어서 하지않고 무조건 하루에 한과목 했어요 - 4주차 주말 - 주중에 못한 부분 공부 + 최신기출
: 주중에 과목별로 못한 파트 공부하고 틈틈히 A~C 필수 암기 한번씩 해줬어요.
최신기출 풀고 책에서 책에 체크 하면서 정리했어요 - 5주차 주중 - [5회독] 전과목 A 파트, B 파트 복습 + 필수 암기, 기출내용 복습
: 월~금 5일동안 하루에 한과목 A 파트, B 파트 복습하고 기출내용 책에 체크한거 같이 봤어요 - 5주차 주말 - 기출해설 위주(주중에 못한 부분 공부 + 암기 달달달)
: 유튜브로 기출문제풀이 보면서 공부했던 내용 확인 하고 암기 해야하는거 체크 했어요 - 6주차 주중 - CBT 풀고 + 기출문제풀이 + 암기 달달달
: CBT 풀고 기출문제풀이 유튜브 보면서 정리했어요. 맞은거는 해설내용 참고만하고 틀린거나 모르는거 있으면 책에 따로 표시하면서 공부했어요. - 6주차 주말 - 책에 제일 많이 표시되어있는거 회독
: 그동안 공부한 내용을 책에 다 표시해놔서 제일많이 표시되어 있거나 기출문제풀이 유튜브 영상 봤을때 중요하다고 한 내용 위주로 공부했어요 - 7주차 주중 - 6주차랑 똑같이 공부하면서 아는내용 날리기
: 6주차랑 똑같이 공부하면서 아는 내용은 과감히 체크해서 날리고 모르는 내용 위주로 공부할 수 있게 표시 했어요 - 7주차 주말 - 문제 풀면서 감 유지하기
: 주중에 못한 공부 하고 시간이 남아서 CBT 문제 풀고 기출문제풀이 하면서 그동안 몰랐던 내용은 아예 버리고 알았는데 틀린문제 위주로 봤어요 - 8주차 주중 - 체크한 것만 회독 수 높이기
: 월~수요일까지는 체크한 것만 회독 수 높이고 암기해야하는 내용 체크했어요. 목요일, 금요일은 전체 공부했던 내용만 가볍게 눈으로 체크하고 까먹은 부분만 공부했어요
3. 정보처리기사 필기 시험 당일 ~ 합격
필기시험은 CBT 방식으로 컴퓨터로 시험이 진행되기 때문에 필요한 준비물은 신분증과 수험표 입니다.
특히 신분증의 경우 지참하지 않으면 시험에 응시할 수 없기때문에 필히 확인 하세요!
시험장소에 도착하면 입구에 이름과 수험번호가 적힌 종이가 붙어있어요.
보통 학교에서 시험을보니까 학교기준으로 하면 몇반으로 가야하는지 확인 하고 가야하는거죠.
교실에 도착하면 칠판에 이름과 수험번호가 적힌 종이가 또 붙어있어요.
이번에는 자리를 확인하고 해당 자리에 착석하면 됩니다.
컴퓨터 화면이 미리 켜져있고 화면에 수험번호와 이름이 적혀있어요.
감독관이 신분증과 수험표를 확인 하고 자리가 맞는지 체크 합니다.
그후 안내 방송이 나오고 시험이 시작됩니다.
위에서 언급한대로 시험은 CBT방식이기때문에 마우스로 클릭해서 답안을 작성해요.
답안을 다 작성하고 나면 제출하기 버튼이 있는데,
저는 시간이 많이 남았기 때문에 다시 첫문제로 가서 재확인 하고 제출했어요!
제출버튼을 누르면 채점이 바로 됩니다.
그래서 시험장을 나오는 사람들의 표정을 보면 합격여부를 알수있어요...😳
정식 합격자 발표는 일주일정도 후에 큐넷 홈페이지에서 확인 할 수 있어요.
합격 후 해야 할것!
합격하자 마자 바로 실기를 준비해야 합니다.
실기는 필기와 달리 객관식이 아닌 주관식이기 때문에 공부 기간이나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요.
보통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 후 두달정도 뒤에 시험을 보기때문에 바로 준비하지 않으면 힘들 수 있어요.
특히 프로그래밍 파트가 내용이 많고 익숙하지 않으면 풀기 힘든 문제인데 비해 출제가 많이 되기때문에 서둘러 준비해야 해요.
이상으로 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 생생후기를 마치겠습니다!
더 궁금하신점이 있으시면 댓글달아주시고, 실기 합격 생생후기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